Constrained Willmore surfaces in 3-space
3차원의 제한된 윌모어 곡면들(Willmore surface)입니다.
종수 2의 실험적 상수평균곡률(CMC) 곡면
Delaunay torus와 유사한, Lawson의 종수 2 최소곡면을 이용해 만들어 낸 3차원 구 속의 상수평균곡률 곡면의 여러 가지 모습입니다. 이 곡면은 Sebastian Heller와 Nicholas Schmitt 가 기법 Hitchin abelianization과 Dorfmeister-Pedit-Wu (DPW) 방식을 활용해 2013년에 발견되었습니다.
종수 2의 실험적 상수평균곡률 곡면
Delaunay torus와 유사한, Lawson의 종수 2 최소곡면을 이용해 만들어 낸 3차원 구 속의 상수평균곡률 곡면의 여러 가지 모습입니다. 이 곡면은 Sebastian Heller와 Nicholas Schmitt 가 기법 Hitchin abelianization과 Dorfmeister-Pedit-Wu (DPW) 방식을 활용해 2013년에 발견되었습니다.
종수 2의 실험적 상수평균곡률 곡면
Delaunay torus와 유사한, Lawson의 종수 2 최소곡면을 이용해 만들어 낸 3차원 구 속의 상수평균곡률 곡면의 여러 가지 모습입니다. 이 곡면은 Sebastian Heller와 Nicholas Schmitt 가 기법 Hitchin abelianization과 Dorfmeister-Pedit-Wu (DPW) 방식을 활용해 2013년에 발견되었습니다.
종수 2의 실험적 상수평균곡률 곡면
Delaunay torus와 유사한, Lawson의 종수 2 최소곡면을 이용해 만들어 낸 3차원 구 속의 상수평균곡률 곡면의 단면입니다. 이 곡면은 Sebastian Heller와 Nicholas Schmitt 가 기법 Hitchin abelianization과 Dorfmeister-Pedit-Wu (DPW) 방식을 활용해 2013년에 발견되었습니다.
제한된 Willmore Hopf 토러스
이 그림은 3차원 속의 제한된 Willmore 곡면 (등각변환에 대한 굽힘 에너지의 극값을 가지는 곡면)을 보여줍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비직방 등각 형태(non-rectangular conformal type)의 손잡이가 둘인 제한된 Willmore hopf torus입니다. 이들은 정해진 등각 형태에서 Willmore 에너지의 최소점을 준다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이 곡면은 Lynn Heller, Martin Kilian, Franz Pedit 그리고 Nicholas Schmitt이 2012년에 발견하였습니다.
Lawson의 종수 2 최소곡면
Lawson의 곡면은 3차원 구 속의 종수 2 최소곡면 중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것으로, Blaine Lawson Jr. 가 1970년 발견하였습니다. 한 조각을 회전시키고 반사시켜 만들어진 이 형태는 다양한 대칭을 갖고 있습니다. 표면의 선들은 점근선의 등각 매개화(conformal asymptotic line parametrization)를 나타내고, 이들은 Sebastian Heller와 Nicholas Schmitt가 2013년에 발견하였습니다.
Wente 토러스
Wente 토러스는 유클리드 공간 속에 몰입된 상수평균곡률 토러스 중 처음의 예로, Henry Wente가 1985에 해석적 방법으로 발견하였습니다. 이전에 Hopf는 유클리드 공간의 컴팩트 CMC 곡면으로는 구면이 유일하다는 추측을 하였습니다. 이 토러스의 컴퓨터 시각화는 Uwe Abresch에 의해 처음 이루어졌습니다.
Dobriner 토러스
직방 등각 형태(rectangular conformal type)의 스펙트럼 종수(spectral genus) 3의 CMC 토러스입니다. 이 토러스의 좌표는 19세기 Hermann Dobriner의 박사논문에서 처음 계산되었습니다. 이는 Hopf 가설에 대한 반례입니다. 컴퓨터 시각화 이전에 이 토러스가 컴팩트하다는 것은 어느 누구도 관찰할 수 없었습니다.
Singly Periodic
Periodic surfaces of constant curvature: twizzler, breather, unduloid, nodoid